주메뉴 바로가기

스마트 소개

제품을 넘어 고객의 행복까지 생각하는 스마트
언론에서도 주목받는 스마트 학생복의 모습입니다.

NO. 9
스마트학생복, 언택트 사회 관련 청소년 설문조사 결과 발표
2020.05.15

스마트학생복, 언택트 사회 관련 청소년 설문조사 결과 발표

 

- 10대 청소년 1,000여 명 참여, 언택트 사회에 대한 인식 확인할 수 있어

- 46.6%의 학생들이 일주일에 2~3회 이상 언택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해

 

최근 이태원 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다시금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방역당국은 개학을 앞둔 10대 청소년들을 주목하고 있다. 코로나19로 도래한 언택트(비대면) 사회 속,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10대들은 배달 등 언택트 서비스 이용에는 익숙하면서도 생활 전반에 대면활동이 많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는 어려움을 겪는다는 특징이 있다.

 

이에 스마트학생복(대표 윤경석)은 언택트 사회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5 1일부터 약 2주 동안 1,000여 명의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△언택트 서비스 경험 빈도 △언택트 서비스 경험 분야 △언택트 서비스를 선호하는 이유 △언택트 사회에 대한 생각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.

 

평소 언택트 서비스를 얼마나 자주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▲일주일에 2~3(46.6%, 426), ▲일주일에 한 번 이하(31.2%, 285), ▲일주일에 4~6(17.4%, 159), ▲일주일에 7회 이상(4.8%, 44)이라고 답했다.

 

 

언택트 서비스를 어떤 분야에서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▲배달(43.4%, 397), 쇼핑(19.6%, 179), ▲키오스크(13.5%, 123), ▲교육(10%, 91), ▲기타(6.3%, 58), ▲문화생활(4.5%, 41), ▲금융서비스(2.7%, 25)로 나타났다.

 

언택트 서비스를 선호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▲코로나19 확산으로 외출 하기가 힘들어서(37.1%, 339), 때와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소비할 수 있어서(26.6%, 243), 결제가 편리해서(13.5%, 123), 직원과의 대면이 부담스러워서(12.4%, 113), 대기없이 빠르게 구매할 수 있어서(5.7%, 52), ▲기타(4.8%, 44)라고 응답했다.

 

언택트 서비스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▲물건이나 서비스를 직접 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아서(37.6%, 344),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 문의할 사람이 없어서(24%, 219), 기타(18.2%, 166), 사람을 직접 대면하고 구매하는 것이 더 안심이 돼서(7.7%, 70), 기계를 잘 다루지 못해서(7.1%, 65), ▲사람과의 소통을 좋아해서(5.5%, 50)라고 응답했다.

 

 

언택트 서비스가 더욱 확산되었으면 하는 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▲문화생활(34%, 311), ▲음식/음료

(21.4%, 196), ▲쇼핑(20%, 183), ▲교육(15.8%, 144), ▲금융서비스(6%, 55), ▲기타(2.7%, 25)로 나타났다.

 

마지막으로 비대면이 익숙해지는 언택트 사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▲편리한 사회가 될 것 같아 긍정적이다(40.3%, 368), ▲노인 소외, 일자리 감소 등 많은 문제를 야기 할 것 같아 부정적이다(38.3%, 350), ▲잘모르겠다(13.2%, 121), ▲기타(8.2%, 75)로 응답했다.

 

스마트학생복 관계자는 일상 속 자연스럽게 스며든 언택트 트렌드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설문을 진행했다, “앞으로도 청소년들의 생각에 관심을 기울이며 소통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.